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TFT-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TFT-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는 박막 트랜지스터 (TFT)기술을 이용하여 화질을 향상시킨 액정 디스플레이 (LCD)의 변종이다.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가 일반적으로는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 (AMLCD)와 동의어로 쓰이지만 액티브 매트릭스 액정 디스플레이의 한 종류이다.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는 평판 디스플레이와 프로젝터에 사용된다. 컴퓨터 모니터 분야에서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는 경쟁 음극선관 기술을 빠르게 대체하였으며 일반적으로 12 ~ 30 인치 크기가 있다. 2006년에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는 텔레비전 시장도 개척하였다.목차 [숨기기] 1구조2핵심부품3.. 더보기
[디스플레이 상식사전] TFT-LCD 공정 – ① TFT 공정 LG디스플레이 블로그에서는 디스플레이 상식에 대해 알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디스플레이 상식 사전’ 시리즈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에 대한 아주 기본적인 지식부터 심도 있는 단어까지, 이해하기 쉽게 풀어드립니다. 지난 디스플레이 상식 사전 시리즈에서 TFT에 대해 알아본 적이 있었는데요. 이번에는 TFT-LCD 공정 과정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잘 나가는 아이돌 그룹을 보면 리드보컬, 댄스, 랩 등 각자 맡은 파트들이 있죠. LCD 역시 각각의 역할 맡고 있는 파트가 합쳐져 구동되는 원리인데요. 한 멤버씩 소개해보겠습니다. 액정의 움직임을 총괄하는 사령탑 TFT(Thin Film Transistor), TFT의 명령에 맞춰 빛의 투과량을 조절해주는 액정(Liquid Crys.. 더보기
OLE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is a light-emitting diode (LED) in which the emissive electroluminescent layer is a film of organic compound that emits light in response to an electric current. This layer of organic semiconductor is situated between two electrodes; typically, at least one of these electrodes is transparent. OLEDs are used to create digital displays in devices such as tele.. 더보기
반도체 제조 공정, 첫 번째 반도체 이야기 Semiconductor/반도체 이야기 2015.11.18 07:00 | 지난 열 달 동안 반도체의 물리적 이론과 소자의 이해 및 최종 제품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이제 이 제품들이 제조라인에서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하나의 반도체 제품이 탄생하기까지는 수많은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여기에서는 설계 등은 고려하지 않고 공정에 대해서만 살펴보고자 합니다. 공정은 크게, 웨이퍼 제조 공정, 소자(디바이스) 제조 공정,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 회사가 가장 잘하는 패키징 및 테스트 공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중에 웨이퍼 제조 공정은 이전 호에서 다루었으므로 소자 제조 공정과 패키징 및 테스트 공정에 대해서 다루겠습니다. 반도체 소자도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 더보기
Ion implantation Ion implantation is a materials engineering process by which ions of a material are accelerated in an electrical field and impacted into a solid. This process is used to change the physical, chemical, or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solid. Ion implantation is used in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and in metal finishing, as well as various applications in materials science research. The ions a.. 더보기
Diffusion This article is about the generic concept of the time-dependent process. For other uses, see Diffusion (disambiguation).A diffusion is a process in physics. Some particles are dissolved in a glass of water. At first, the particles are all near one corner of the glass. If the particles all randomly move around ("diffuse") in the water, they eventually become distributed randomly and uniformly fro.. 더보기
Cleanroom This article is about the manufacturing or research environment. For the method used to avoid copyright infringement, see Clean room design. For the software engineering methodology, see Cleanroom software engineering.Cleanroom used for the production of microsystems. The yellow (red-green) lighting is necessary for photolithography, to prevent unwanted exposure of photoresist to light of shorte.. 더보기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PECVD) is a process used to deposit thin films from a gas state (vapor) to a solid state on a substrate. Chemical reactions are involved in the process, which occur after creation of a plasma of the reacting gases. The plasma is generally created by RF (AC) frequency or DC discharge between two electrodes, the space between which is filled with the reac.. 더보기